node_modules?
node_modules를 이용하여 좀더 다양한 오픈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이러한 라이브러리 오픈 소스를 패키지로 관리하고 저장해둔 npm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npm을 이용해서도 설치가 가능하지만 페이스북(지금은 메타)에서 만든 yarn을 이용해서도 이러한 것들을 설치 가능하다.
yarn 설치
## 터미널
## 1. yarn 설치(우분투인 경우 sudo를 꼭 쓴다.)
sudo npm install -g yarn
## 2. 설치 확인 및 버전확인
yarn --version
우선 터미널을 열어보자. 위와 같이 순서대로 쳐보자
- sudo : 우분투 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같은 존재
- npm install : npm을 통해 설치(install)설치하겠다. 무엇을 설치하느냐 install 뒤에 오는 패키지를 설치한다는 뜻이다.
- yarn : 자바스크립트 패키지 매니저. npm같은 거라고 볼 수 있다.
npm과 yarn이 비슷한 역할을 한다면 왜 굳이 yarn을 까는냐고 물어볼 수 있는데, npm은 조금 더 무겁기도 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도 있어서 그런걸 보완해서 만든게 yarn이다. 그래서 쓰인다.
본격적으로 node로 JS파일 실행하기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하나 만들어보자. 내용은 가볍게 console.log(`Hello Wolrd~`)
파일을 생성했으면 터미널을 열어보도록 하자. vscode에 있는 터미널을 사용해도 된다.(단축키 : ctrl + ` )
## 터미널
## 현재 터미널 경로 확인
ls
## 경로 이동
cd 폴더명 ## 현재 위치에서 폴더명으로 이동한다.
cd .. ## 현재 위치에서 한단계 상위 폴더(경로)로 이동
- ls : 현재 터미널 시작 경로를 보여주는 느낌. ls를 쓰면 현재 경로 기준으로 무슨 파일이 있는지 뜨게 된다.
- cd : 경로를 이동한다. 폴더명을 쓰면 해당 폴더로 이동. ..을 쓰면 현재 위치에서 밖으로 나간다.
위의 명령어를 써서 내가 만든 JS파일이 있는 경로까지 이동해보자. 이동이 되었으면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node 파일명.js
위와 같이 입력하면 터미널에 console.log로 찍은 Hello World 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래라면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console.log에 찍힌 내용들을 확인해야하는데 node를 이용해서 우리는 브라우저 없이 JS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만약 파일이 수정되었다면, 수정 후에 터미널에 또다시 위의 명령어를 치면 된다.
node_moduldes를 설치하자.
간단한 명령어로 node_modules를 설치할 수 있다.
## 터미널
## npm 방법
npm init
## yarn 방법
yarn init
둘중에 하나의 명령어만 입력하면 된다. 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경로에 node_modules가 설치되고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이 생겼을 것이다.
npm을 이용해서 express를 설치해보자
npm에서 제공하는 패키지 중 많이 쓰이는 express를 설치해보자.
npm 공식사이트로 이동해서 express를 검색해보자. 그럼 다음과 같이 express에 대한 패키지 정보가 뜬다.
express 란?
서버를 쉽게 짤 수 있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이다. express를 이용하면 없을때보다 코드를 간결하게 짤 수 있는데 다음은 이 블로그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한다.
오른쪽에 보면 npm i express 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설치가 가능하다고 나와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yarn을 설치했으니 yarn으로 설치를 해보자.
## 터미널
yarn add express
- yarn add : npm install 과 같은 뜻이다. 설치한다는 뜻이다.
- express : express를 설치한다. express는 NodeJS로 서버를 구성할 수 있게 만드는 프레임워크다.
오른쪽에 보면 npm i express 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설치가 가능하다고 나와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yarn을 설치했으니 yarn으로 설치를 해보자.
express가 설치가 되었다면 우리가 위에서 생성된 package.json 파일에 express가 추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이로써 모듈 설치가 완료 되었다!
보안문제로 인한 ERROR 발생 시
윈도우에서 간혹 보안문제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는데 다음과 같이 처리해보자. 시작줄 검색창에 powershell을 입력해보자.
- 우선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자
- executionpolicy 입력
-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 입력
- y 입력
'📖 TIL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Scraping & Crawling (0) | 2022.02.11 |
---|---|
[Node.js] package.json (0) | 2022.02.04 |
[Node.js] REST-API (0) | 2022.01.31 |
[Node.js] Graphql-API (0) | 2022.01.29 |
[Node.js] Node.js 설치 (0) | 2022.01.26 |